안녕하세요?! 긍정폭탄입니다.
블로그 글을 쓰는게 얼마만인지 모르겠네요...
요즘 여유 시간이 좀 생겨서 다시 포스팅을 해 볼려고 합니다.
그래서 오랜만에 작성하는 포스팅의 주제는 두둥...내부 아이피, 외부 아이피 구분입니다.
그럼 바로 시작할게요.
내부IP와 외부IP란?
내부 IP(Internal IP): 내부 IP는 가정이나 회사의 네트워크 안에서 각 기기에 할당된 고유한 주소입니다.
예를 들어, 집에 있는 컴퓨터, 스마트폰, 프린터 등이 라우터를 통해 서로 통신할 때 사용합니다.
내부 IP는 라우터가 관리하며 외부 인터넷에는 노출되지 않습니다.
내부 IP 주소 확인 방법
명령 프롬프트(cmd) 사용
키보드의 윈도우 키 + R을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.
"cmd"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릅니다.
명령 프롬프트에서 ipconfig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"IPv4 주소" 항목에서 내부 IP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내부 IP 주소 대역은 아래와 같습니다:
192.168.0.0 ~ 192.168.255.255
10.0.0.0 ~ 10.255.255.255
172.16.0.0 ~ 172.31.255.255
외부 IP(External IP): 외부 IP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(ISP)에서 라우터에 할당한 고유 주소입니다.
이 주소를 통해 외부 인터넷에서 여러분의 네트워크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.
간단히 말해, 외부 IP는 네트워크의 "집 주소"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.
외부 IP 주소 확인 방법
가장 쉬운 방법은 네이버에서 "내아이피" 로 검색하면 확인이 가능합니다.
내부 IP와 외부 IP 설정: 자동 할당 vs 수동 설정
네트워크 설정에서 내부 IP를 관리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:
자동 IP 주소 설정(자동으로 IP 주소 받기)
대부분의 경우, 라우터는 DHCP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를 사용하여 내부 IP를 자동으로 할당합니다.
Windows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:
"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"에서 "이더넷" 또는 "Wi-Fi"를 클릭합니다.
"속성" > "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(TCP/IPv4)"를 선택한 뒤 "속성" 버튼을 클릭합니다.
"자동으로 IP 주소 받기" 옵션을 선택합니다.
수동 IP 주소 설정(다음 IP 주소 사용)
특정 장치에 고정 IP를 설정해야 하는 경우(예: 프린터, NAS), "다음 IP 주소 사용" 옵션을 선택합니다.
이 경우, 내부 네트워크의 다른 기기와 충돌하지 않도록 꼭 확인이 필요합니다!
외부 IP가 바뀌는 경우는?
외부 IP는 고정 IP와 동적 IP로 나뉩니다.
고정 IP(Static IP): 변하지 않는 IP로, 서버를 운영하거나 원격 접속이 필요한 환경에서 주로 사용됩니다.
동적 IP(Dynamic IP): 대부분의 가정용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,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라우터를 재부팅하면 IP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.
외부 IP가 바뀌면 원격 접속이나 포트포워딩이 필요할 때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. 이를 해결하려면 **DDNS(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)**를 활용하면 유용합니다.
포트포워딩과 DDNS 관련 포스팅은 다음에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~
'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DNS 설정(feat.ipTime) (2) | 2024.12.28 |
---|---|
포트포워딩 설정 및 확인 하는법 (1) | 2024.12.26 |
카카오톡 다크모드 설정방법 (0) | 2020.06.22 |
컴퓨터로 특수문자(하트,별 등) 사용방법 (0) | 2020.05.11 |
카카오톡 대화방 배경화면 변경 및 설정 방법 (0) | 2019.12.04 |